6. 레스이즈모어(LIMI)란 무엇인가 with 아이폰 SE 시리즈
비즈니스모델 중 하나인 '레스이즈모어(less-is-more innovations, LIMI)'란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레스이즈모어란?
레스이즈모어(less-is-more innovations, LIMI)란 앞서 기업들이 시장에 내놓은 제품/서비스 중 다수의 고객이 기대했던 것보다 더 적은 것, 즉 더 단순하거나 꼭 필요한 것만 남긴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모델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서 기존의 것 중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거나 특정 부분을 극대화한 제품/서비스를 출시하여 이익을 창출하는 모델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모어이즈베터(more-is-better innovations, MIBI)'란 개념이 있다. 기존의 것에서 특성이 많이 향상되거나 새로운 특성이 많이 추가되어 더욱 정교한 것으로 인식되는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모델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자동차 구매 시 옵션을 추가하거나 기존 정수기에서 얼음이 나오는 기능이 추가된 얼음정수기가 있다.
레스이즈모어의 특징
레스이즈모어 비즈니스모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제품의 주요한 특성 중 일부가 제거되었거나 약화됨
2. 기존 제품에 비해 더 단순해짐
3. 기존 제품보다 가격이 더 저렴해짐
4. 고객이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
이러한 특징을 가진 레스이즈모어 비즈니스모델을 통해 기업은 시장에서 비경쟁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이 공간에서 차별화된 제품을 낮은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다.
레스이즈모어의 이점과 단점
레스이즈모어 모델의 전략적인 이점은 다음과 같다.
- [jd
- [jd
개발 작업, 자원량, 자원의 복잡성과 같은 혁신물 관련 업무가 기존에 비해 더 단순해질 수 있음
- [jd
개발 작업, 자원량, 자원의 복잡성과 같은 혁신물 관련 업무가 기존에 비해 더 단순해질 수 있음
개발 작업, 자원량, 자원의 복잡성과 같은 혁신물 관련 업무가 기존에 비해 더 단순해질 수 있음
- [jd
초기에는 직접적인 경쟁자가 없음
초기에는 직접적인 경쟁자가 없음
- [jd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음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음
- [jd
2차 제품의 용도로도 구매될 수 있음 - 판매기회가 많음
2차 제품의 용도로도 구매될 수 있음 - 판매기회가 많음
- [jd
기존 시장을 점유하던 기업들을 무력화시킬 수 있음
기존 시장을 점유하던 기업들을 무력화시킬 수 있음
- [jd
고객에 대한 과거의 약속과 기존 제품에 대한 매출 잠식 우려가 기존 기업들의 신제품 개발(LIMI와 관련된)을 가로막을 수 있음
고객에 대한 과거의 약속과 기존 제품에 대한 매출 잠식 우려가 기존 기업들의 신제품 개발(LIMI와 관련된)을 가로막을 수 있음
- [jd
저가 및 차별화 모두를 뒷받침하는 자원과 활동 체계가 구축됨
저가 및 차별화 모두를 뒷받침하는 자원과 활동 체계가 구축됨
- [jd
일반적 통념에 대치됨으로써 경쟁자의 진입을 늦출 수 있음 - 일반적으로 기업은 MIBI에 익숙함
일반적 통념에 대치됨으로써 경쟁자의 진입을 늦출 수 있음 - 일반적으로 기업은 MIBI에 익숙함
- [jd
기존 시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높음
기존 시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높음
반대로 레스이즈모어 모델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 [jd
- [jd
레스이즈모어로 인한 경쟁우위를 지속하기가 어려움
- [jd
레스이즈모어로 인한 경쟁우위를 지속하기가 어려움
레스이즈모어로 인한 경쟁우위를 지속하기가 어려움
- [jd
다른 경쟁자들이 레스이즈모어 모델 진입에 대한 장애들을 극복하고 나면, 쉽게 모방 가능함
다른 경쟁자들이 레스이즈모어 모델 진입에 대한 장애들을 극복하고 나면, 쉽게 모방 가능함
- [jd
레스이즈모어 모델을 통해 출시한 제품/서비스는 더 발전시킬 여지가 별로 없음
레스이즈모어 모델을 통해 출시한 제품/서비스는 더 발전시킬 여지가 별로 없음
간단히 레스이즈모어 모델은 비경쟁 시장으로 진입하여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지만 다른 경쟁자들이 모방하기 쉽고, 이후엔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발전시킬 특징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레스이즈모어 모델의 기업들은 다른 경쟁자들이 모방하기 전에 다른 시장에서 다른 레스이즈모어 혁신물을 출시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레스이즈모어의 대표 사례: 애플의 아이폰 SE 시리즈
애플의 아이폰 SE 시리즈(출처: 애플 공식 홈페이지)
레스이즈모어의 대표 사례로는 애플의 아이폰 SE 시리즈가 있다. 2016년 애플에서 처음 선보인 제품군으로 기존 아이폰 시리즈의 보급형 모델로 출시된 제품이다. 기존 아이폰 시리즈에 비해 디스플레이 크기, 프로세서 등급, 카메라 성능 및 개수, 배터리 용량, 생체 인증 방식 등 여러 부분에서 스펙을 낮췄고 그만큼 가격과 무게도 낮아졌다. 이로 인해 기존 아이폰의 스펙이 본인이 사용하기에 과하거나 비용이 비싸 구매를 꺼려 하던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로 제시되었으며, 이후 애플워치, 아이패드와 같은 제품군에도 적용하여 애플의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오늘은 레스이즈모어란 개념과 대표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앞서 제시한 사례 외에도 흔히 우리 주변에서 '보급형'이라 붙은 제품들의 경우가 레스이즈모어 모델의 대표 사례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새로이 레스이즈모어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생각해 본다면 핸드폰 알림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를 개발하는 것이 어떨까 싶다. 나는 애플워치를 사용하고 있지만 애플워치로 운동할 때 심박수를 재서 운동에 활용하거나 물건 구매 시 간편결제 기능을 활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능을 뺀다면 기존보다 무게도 가볍고 가격도 착한 스마트워치가 세상에 나오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면 나와 비슷한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이미 구매할 준비가 되어있을 것이다.
출처:
- [j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