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NFC 켜기 끄기 태그 위치 교통카드 결제

삼성 갤럭시의 경우 제어모드에서 NFC 켜기 끄기 버튼을 지원을 합니다. 하지만 아이뻐의 경우 별도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아이폰 NFC 켜기 끄기 미지원이라는 의미는 다시말하면 상시 활성화 상태라는 것 입니다. 갤럭시를 사용하다 아이뻐로 넘어오는 경우 차이점 중 하나 입니다.

지금까지 아이폰 NFC 태그를 사용하는 기능들은 극히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저같은 경우도 TOSS 카드 정도 인식을 위한 용도로 사용을 했거든요.

아이폰 NFC 태그 위치

모델에 따라 태그 위치 차이는 있지만 NFC 태그 위치는 카메라 바로 옆에 있습니다. 이미 결제 또는 OTP 인증을 위해서 태그를 사용했던 분들이라면 안매 화면에서 카메라 바로 옆에 태깅을 하라고 들었을거에요.

아이폰 NFC 켜기 끄기 기능은 지원하지 않지만, 내 아이뻐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바로 단축어 기능에서 가능한데요. 주변에 NFC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 또는 저처럼 TOSS 카드를 활용해서 정상 인식 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NFC 기능 정상 동작 확인 방법

단축어 앱을 실행을 해주세요. 하단 메뉴 중 가운데 있는 자동화 메뉴를 선택 후 <개인용 자동화 생성> 또는 우측 상단에 있는 <+>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중간에 내리면 <NFC>항목이 있는데요. 위치에 태그가 되었을때 어떤 기능을 할지 자동화 시퀀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 버튼을 누르면 바로 태그 모드로 동작을 하는데요. 해당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를 카메라 옆에 가져다 되면 정상적으로 태깅이 되는걸 확인할 수 있을거에요.

국내 애플페이 결제는 NFC 방식

국내에서 아이폰 NFC 결제 기능은 지원을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오늘 애플페이가 국내에 서비스를 시작하죠. OECD 국가 중 터키와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애플페이 서비스를 하지 않았는데요. 매년 희망고문을 하던 애플 페이가 시작을 했습니다.

애플 페이는 NFC 결제 방식을 이용합니다. 상시 켜져있기 때문에 유저가 별도로 결제를 위해서 NFC 켜기나 끄기를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애플페이 결제를 위해서 월렛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상시 켜져있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애플페이는 서비스하는데 아이폰 NFC 교통카드는 늦어지는 이유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아이폰 NFC 교통카드 기능에 대한 관심도 높습니다. 우리나라 지하철이나 버스들의 경우 이미 해당 방식의 결제 서비스를 지원을 합니다. 떄문에 애플페이가 도입이 되면 기술적인 문제 없이 가능합니다.

단, 우리나라 교통카드는 카드사가 아닌 티머니 같은 별도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통해서 진행 합니다. 갤럭시에서도 교통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 별도 티머니나 캐시비 서비스를 선택해서 가입을 해야하는데요. 현재 애플페이의 경우 현대카드와 결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시작을 할뿐 교통카드 프로바이더인 티머니와 캐시비와는 어그리먼트가 없습니다.

애플페이가 서비스를 시작하고 현대카드 뿐만 아니라 다른 카드사들까지 애플페이를 지원한다면 국내에서 아이폰 NFC 교통카드 결제하는 모습도 먼 미래가 아닙니다. 대중교통 이용도가 높은 10-30대에서 아이뻐의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는점을 비추어볼때 애플페이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빠르게 어그리먼트도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