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15 프로 접사 기능과 성능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

안녕하세요! IT/테크 블로거 모즈입니다.

아이폰 15 프로를 사용하게 되면서 다양한 장점들을 경험하고 있는데요, 그 중 하나는 바로 카메라 접사 기능입니다. 업무를 보거나 사물을 촬영할 때 가까이 촬영이 가능한 점은 여러모로 많은 도움이 됩니다. 특히 문서를 공유하는 것은 물론 제품에서 필요한 부분을 공유하는데도 편리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이폰 15 프로 접사 기능과 성능은 어떤지, 제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폰 15 프로 카메라의 변화

저는 아이폰 11 프로에서 바로 아이폰 15 프로 퀀텀 점프를 했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변화를 경험했지만 그중에서 카메라의 변화가 꽤 크게 느껴졌습니다. 우선 아이폰 11 프로와 15 프로의 카메라 스펙을 가볍게 비교해 보면 12MP로 동일했던 트리플 카메라 대신 48MP로 광각 카메라 화소가 높아졌고 LiDAR 스캐너가 탑재됐으며 조리개 역시 소폭 변화가 생겼습니다.

이런 변화와 함께 아이폰 11 프로에 없던 접사 기능도 추가가 됐는데요, 덕분에 다양한 촬영 환경에서 편리한 촬영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래서 이전 포스팅에서도 이 부분을 이야기하기도 했는데요, 아이폰 15 프로의 장점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4년 만에 애플 아이폰 15로 바꾼 IT/테크 블로거 모즈입니다. 그 이전에는 아이폰 11 ...

blog.korea-iphone.com

아이폰 15 프로 카메라 접사 성능

그렇다면 아이폰 15 프로의 접사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접사 촬영 시 특별한 설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아이폰을 가까이 두면 왼쪽 아래에 꽃 모양의 노란색 아이콘이 활성화되면서 접사 모드라는 것을 보여주며 사용자는 적당한 초점거리를 확인하고 촬영하면 됩니다. 피사체에서 멀어지면 없어지고 다시 가까이 대면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접사 촬영 모드로 변환이 됩니다.

그렇다면 아이폰 15 프로의 카메라 접사 성능이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처음 카메라 성능을 테스트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촬영은 바로 키보드죠. 별도의 줌 없이 1x 배율로 촬영한 결과는 이처럼 키 캡 하나를 화면 전체에 완벽하게 채우는 수준입니다. 예전 아이폰 11 프로에서는 줌을 이용해 다소 떨어진 화질로서 가능한 수준인데, 역시 그보다 이미지 퀄리티가 좋았습니다.

이미지 뷰어를 통해 EXIF 정보를 확인한 결과 35mm 환산 초점 거리는 24mm이고 조리개는 f/2.2로 측정됩니다. 워낙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하다 보니 ISO는 400까지 높아져 주변부에 살짝 노이즈가 더해지고, 조리개 값이 낮아 주변부가 블러되는 느낌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접사 촬영시 많이 촬영하는 동전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저는 500원짜리 동전을 촬영해 봤습니다. 그 결과 두루미의 날개는 물론 깃털까지 사진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이고, 오백원이라는 글자 역시 선명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앞서 사진이 워낙 가까운 거리에서 찍어 주변부가 흐려지는 블러 현상이 생겼지만 조금 조절하면 이처럼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합니다. 피사체에서 거리를 조금 띄우면 이렇게 주변부 화질을 좀 더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야외에서도 한번 촬영해 봤습니다. 위 사진처럼 워낙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초점거리를 촬영하기 힘든 수준으로 바닥에 붙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경함할 수 있습니다. 더 가까이 가면 초점은 물이 번지듯 흐려지게 되며, 약간의 거리 이동을 통해 조정하면 최적화된 초점을 확인하고 촬영할 수 있게 됩니다.

별도의 줌 없이 1x 배율의 모드로만 촬영을 한 결과물입니다. 눈 결정은 물론 나무의 모습까지 꽤 선명하게 찍힌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대한 접근하여 촬영하다 보니 앞서 키보드나 동전처럼 주변부가 다소 흐려진 느낌은 있지만 상당한 수준의 근접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EXIF 정보를 한 번 보겠습니다. 35mm 환산 초점 거리는 24mm로 기록되어 있으며, f/2.2로 조리개는 같지만 빛이 강하게 들어오는 환경이라 ISO는 40까지 떨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각 환경에 맞춰 아이폰은 최적화된 ISO와 노출 시간을 조절해서 촬영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접사 성능이 뛰어난 덕분에 다양한 피사체의 새로운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수준의 카메라에서는 그냥 근접 촬영에서 끝나는 나무 표면의 모습도 한번 더 가까이 다가가 보게 되더라구요. 카메라의 성능이 좋아지면 촬영하는 재미가 더해지는데 요즘 아이폰 15 프로를 가까이 가져가서 사진을 많이 찍는 저를 발견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와 같이 나무의 모습을 제대로 관찰하기도 좋습니다. 둥근 형태의 나무 중 한 부분을 집중해서 촬영한 사진이다 보니 주변부가 좀 더 흐려진 모습이지만 나무의 질감은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EXIF 정보로 확인한 모습은 이렇습니다. 초점거리는 약 2.22mm로 35mm 카메라로 환산 시 24mm 가량으로 측정됩니다. 조리개는 f/2.2로 기록되어 있으며, ISO 역시 125로 나름 준수하게 촬영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근접으로 촬영이 가능하며, 디테일한 모습의 확인에 어려움이 없는 모습니다.

업무 활용도 좋은 아이폰 15 프로 접사 기능

아이폰 15 프로의 이런 촬영 기능과 성능은 문서 등 인쇄물을 촬영할 때도 도움이 됩니다. 당연히 스캔 품질이 좋아지는 것은 물론 필요한 부분만 정확하고 섬세하게 촬영해서 공유할 수 있게 되더라구요.

워낙 근접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렇게 물체의 상태를 공유할 때도 도움이 됩니다. 오래된 난간의 표면에 녹이 언제 이렇게 슬었는지 직접 촬영하고 기록을 남기는 것은 물론 필요한 곳에 빠르게 전달해 보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줌 기능을 활용해 접사 기능을 좀 더 극대화하면 이처럼 더 가까이도 촬영이 가능합니다. 소재의 질감까지도 표현이 되기 때문에 인쇄물이나 인쇄 소재의 정보를 공유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소재의 이름만 갖고는 이해가 힘든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사진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가적인 편리함은 이런 접사 성능을 동영상에서도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개미 한 마리 다니지 않는 요즘같이 추운 날씨라 그 활용도를 직접 보여드리지 못해 아쉽지만, 곤충을 관찰하거나 혹은 움직이는 물체를 접사로 촬영하는 일이 필요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아이폰 15 프로의 접사 성능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는데요, 어떻게 보셨나요? 아마 아이폰 모델이 더 출시될수록 카메라 기능은 더욱 고도화될 겁니다. 그리고 근접 촬영 기능이나 성능도 더 강화되겠지요. 그러나 아이폰 11프로에서 15 프로로 넘어온 입장에서 보면 아이폰 15의 접사 성능은 위 사진에서처럼 일상적인 환경에서 더 자신 있게 사물을 근접 촬영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더군요. 아마 더 나은 성능이 나온다고 해도 지금 정도의 변화를 느끼게 해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간단히 소개해 보려다 이야기가 너무 길어졌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앞으로도 아이폰 접사 사진 찍으러 열심히 다녀야겠습니다 :)

더 특별한 스마트 IT 라이프 위한 정보와 리뷰!

모즈의 스마트한 IT 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