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과 삼성 스마트모니터 M8로 알아보는 PIP와 PBP 활용법

오늘은 아이폰과 삼성 스마트모니터 M8로 알아보는 PIP와 PBP 활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업무를 하면서 동시에 영상을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물론 그냥 모니터 옆에 휴대폰으로 영상을 켜면 좋은데 같은 화면에서 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근데 내가 업무하는 환경은 방해받고 싶지는 않아요

오늘은 모니터에서 멀티태스킹을 위한 기능 PIP랑 PBP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PIP

PIP는 Picture in Picture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화면 안에서 작은 창으로 다른 소스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에요.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보면서 동시에 인터넷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거나, 영상 강의를 듣는 동안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거죠. 이런 식으로 PIP를 이용하면 다른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요. 화면 안에 화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그냥 창을 하나 더 띄우면 되는데 이 기능이 뭐가 필요하냐하고 하실 수도 있습니다.

우선 가장 큰 목적은 연결된 다른 소스를 한 화면에 동시에 노출하기 위한 목적인데 대표적으로 뉴스나 선거 개표 방송에서 카메라가 찍고 있는 화면 외 다른 영상을 동시에 노출할 때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위와 같은 화면을 상상해 보세요 여기서 제가 에 검색하면 어떻게 될까요? 네 당연히 유튜브가 창 뒤로 숨겨지게 될 것입니다.

만약 위와 같이 조작한다면요? 이때는 오른쪽 상단에 공간 낭비가 발생될 것입니다.

윈도우에서 2개의 영상을 동시에 사용한다면 위와 같이 상호작용이나 낭비가 있어 사용성이 좋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서로 완전 독립적인 소스를 한 화면에 노출시키는 것이 PIP 기능입니다.

필자는 아이폰과 스마트모니터 M8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두 제품은 에어플레이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아이폰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띄울 수는 있었지만 아래와 같이 구석에 PIP 형태로 띨 수도 있습니다.

저는 블로그 글을 쓰면서 동시에 영상을 시청하고 싶으면 PIP 기능을 사용합니다.

PBP

PBP는 Picture-by-Picture의 약자로 이 기능은 한 모니터에서 여러 소스를 볼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기본적으로 모니터는 하나의 소스를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PBP를 이용하면 여러 소스를 한 번에 표시할 수 있어요.

위 모니터는 LG 전자에서 나온 Dualup이란 모니터인데 위아래가 다른 소스인데 한 화면에 동시에 노출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다른 PC를 한 모니터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컴퓨터와 게임 콘솔을 동시에 연결해서 모니터에서 둘 다 확인할 수 있다는 거죠. 이렇게 PBP를 이용하면 여러 작업을 병행하거나 다양한 소스를 비교해야 할 때 매우 편리해집니다.

아이폰과 스마트모니터를 가지고 에어플레이를 이용하면 위와 같이 쇼츠를 보면서 업무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화면 사이즈를 조정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빈 공간이 만이 생기는 것이 조금 아쉽습니다.

가로모드를 사용하면 사태는 더 심각해지니 아이폰이랑 M8 2개 가지곤 안 쓸 것 같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모니터의 기능 PIP랑 PBP를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슈카 형님이 정말 잘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업계에서도 프로그래머나 디자이너 분들은 잘 사용하는 기능이라고 하니 모르셨던 분들은 이 기능을 잘 활용할 방법을 한 번 고민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아이폰과 삼성 스마트모니터 M8로 알아보는 PIP와 PBP 활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더 좋은 꿀팁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이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