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아이폰, 아이패드 유심칩 교체(자급제폰 핸드폰 유심 빼는법, 방법)+원칩유심

짧고 담백한 IT 정보를 전하는 테크 인플루언서, 세수하면이병헌입니다. 본 포스팅은 자급제폰 구매자를 위한 핸드폰 유심 교체 방법을 다뤘습니다. 사실 전혀 어렵지 않은데, 기기변경을 대부분 대리점 직원을 통해 했던 분들이라면 혼자서 유심칩 교체를 하기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기도 합니다.

갤럭시, 아이폰, 아이패드 유심칩 교체 방법은 모두 같고, 개념도 크게 다르지 않으니 빼는 법과 넣는 법 등 구체적인 유심칩 교체 방법을 통해 자급제폰 핸드폰을 더 편하게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원칩유심의 개념도 간략히 짚어보겠습니다.

유심칩 교체

1. 핸드폰 유심 빼는 법

필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갤럭시 Z플립4, 갤럭시 S23 울트라, 아이폰 14 PRO, 아이패드 프로를 기준으로 살펴보자.

플립은 왼쪽 측면 상단에, S23은 하단에, 아이폰ㅇ른 왼쪽 측면 중앙에, 아이패드 프로는 세로로 세웠을 때를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유심 트레이가 있다.

즉, 각 기기마다 모두 트레이 위치가 다르다. 그래서 처음 유심 교체를 해본다면 헷갈리기 쉬운데, 상하단, 양측면 4면 어딘가에는 반드시 있으니 일단 트레이 위치부터 찾아보자. 참고로 아이패드는 셀룰러 모델만 트레이가 있다.

기기를 구입할 때 동봉되어 있는 유심제거핀이 필요하다. 각 트레이는 모두 작은 구멍이 있는데, 여기에 핀을 찔러 넣으면 톡 하고 빠져나온다. 약간 힘을 주어야 하니, 겁먹지 말고 눌러보자.

참고로 유심제거핀이 없어서 급한 마음에 옷핀 같은 도구로 찔러 넣는 경우도 있는데, 위험하니 자제해야 한다.

아이폰 유심 교체를 하는 상황이다. 유심을 보면 모델명과 일련번호가 적혀 있는 부분과 회로가 보이는 면이 있는데 각 디바이스마다 어떤 부분을 위쪽으로 향하게 해야 하는지는 다르다. 이건 트레이를 잘 보면 알 수 있는데, 모든 USIM은 1개 코너 부분이 깎여있는 구조다. 그 부분을 트레이에 맞게 끼워 넣으면 된다.

물론 아이패드 유심 교체 또한 아이폰과 전혀 다르지 않다. 빼고 꼽으면 끝이다. 다만 iPad는 셀룰러 버전만 usim 사용을 할 수 있고, 데이터 사용만을 위해 활용된다.

갤럭시 유심 빼는 법도 다르지 않다. 한데 갤럭시는 잘 봐야 하는 점이 한 가지 있는데,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이 유심 트레이와 일체형인 경우가 있다. 필자가 쓰는 S23 울트라는 마이크로 SD 카드를 지원하지 않는데, 유심 트레이 뒷면을 보면 마치 작은 카드가 들어갈 것처럼 생긴 걸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지원하지는 않는다.

마이크로 SD 카드를 지원하는 구형 갤럭시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 부분도 잘 살펴봐야 하는 이유다.

각 트레이는 해당 기기에 맞게끔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혹여라도 예전 모델과 새로 구입한 자급제폰 간, 트레이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물론 같은 모델이라면 상관없다.

아이폰(왼쪽)의 유심 트레이는 아무것도 적혀있지 않다. 반면 갤럭시 S23 울트라는(중앙) SIM1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갤럭시 Z플립4(왼쪽)은 역시 아무것도 적혀있지 않다. 그리고 각 기기의 트레이는 모두 뚫려있는 것, 막혀있는 것, 형태까지도 다르다.

보통 셀프로 유심칩 교체를 해야 하는 경우는 자급제폰을 구입해서 핸드폰을 이용하려고 할 때다. 그렇다 보니 유심 교체 방법을 검색하는 분들 대부분이 이런 과정 자체를 처음 해보기 때문에 빠르게 궁금한 점부터 짚어보겠다.

2. Q&A

1. 그냥 교체만 하면 바로 쓸 수 있는지?

새로 구입한 핸드폰이 자급제폰이고, 외산폰이라면 해당 통신사에 기기등록(IMEI 등 필요)이 안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과거에는 그런 기종이 꽤 많았는데, 지금은 웬만해서는 대부분 다 된다. 만약 유심칩을 교체했는데도 통화 데이터 사용이 안 된다면 해당 통신사로 문의해야 한다.

2. 전원을 껐다가 켜야 하나요?

꼭 그럴 필요는 없다. 대부분 바로 인식하는 편인데, 100%는 아니니 혹시 바로 네트워크 인식을 못 한다면 전원을 리셋하자. 대부분 해결된다.

3. 중고(당근)에서 구입한 아이폰, 확정 기변은 안 된다는데 무슨 말인지?

각 통신사를 통해 핸드폰을 할부 구입한 사람이 아직 24개월(약정 기간)이 지나지 않았는데 폰을 판매한 경우다. 이런 경우에도 '유심기변'은 가능하다. 하지만 '확정 기변'은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 판매자가 변심하면 안 좋은 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작년 9월부터 일부 모델에 한해 가능해진 eSIM 듀얼심

가령, 중고로 판매했음에도 통신사에 연락해서 '분실당했다'라고 할 수도 있다는 것. 실제로 필자가 겪었던 일이기도 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4. 유심칩 교체만 하면 요금제나 청구요금 등, 사용량에 대한 정보도 다 넘어가는 건가요?

맞다. 핸드폰의 요금제와 사용량, 매월 청구 비용 등은 모두 '유심' 기반이다. 즉, 갤럭시에서 아이폰으로 유심 교체를 했다면, 갤럭시에서 사용하던 요금제와 청구금액, 사용량 등이 모두 아이폰 기준으로 바뀌게 된다.

아이폰 유심 교체, 빼는 법과 넣는법 서비스안됨 인식 불가 해결 솔루션 실상 무척 간단하지만 <유심&gt...

blog.korea-iphone.com

그 외 아이폰 유심 교체에 대한 서비스 안 됨 인식 불가 이슈가 있다면 위 포스팅을 참고해 보자. 오래전 내용이지만 지금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꽤 많다.

3. 원칩유심

이건 부수적으로? 혹은 가벼운 상식 정도로 알아두자. 아이폰도 갤럭시도 자급제폰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는데, 그 중심에 '알뜰폰 통신사'가 있다.

알뜰폰 통신사는 SK, KT, LG 통신 3사에 모두 있는데, 그중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건 LG U+ 알뜰폰이다. 상당히 많은 알뜰폰 통신사가 있는데, LG U+ 망을 이용하는 모든 알뜰폰 요금제를 개통할 수 있는 통합형 USIM을 두고 '원칩유심'이라 칭하고 있다.

말 그대로 원칩, 1개의 USIM으로 모든 알뜰폰 통신사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 (LG U+ 국한) 갤럭시 자급제, 아이폰 자급제를 구입해서 알뜰폰으로 이용하려는 분들은 원칩유심을 기억했다가 활용해 보는 것도 좋다. 작년에 출시되어 아직까지도 많은 알뜰통신사에서 각종 프로모션을 제공하고 있어 활용해 봄 직하다.

포스팅 내용이 마음에 드신다면 아래 배너를 눌러 팬 하기 부탁드립니다 :) 또 다른 실용적인 정보를 계속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